반응형
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

최신 정보 정리 (2025년 7월 기준)
발표 기관: 행정안전부 / 중소벤처기업부 / 각 지방자치단체
최신 기준: 2025년 7월 23일 기준
📌 민생회복 소비쿠폰 개요
- 목적: 국민 생활 안정 / 지역경제 활성화 / 소상공인 매출 증진
- 대상: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
- 지원 금액: 1인당 최대 55만 원(1·2차 합산 기준)
- 지급 시기:
- 1차: 2025년 7월 21일 ~ 9월 12일 신청
- 2차: 2025년 9월 22일 ~ 10월 31일 신청
- 사용 기한: 모든 소비쿠폰은 2025년 11월 30일까지 사용 가능
- 지급 수단: 신용·체크카드, 지역사랑상품권(모바일·지류), 선불카드 중 선택
- 총 예산: 중앙정부 + 지방정부 분담 / 약 14조 원 규모 예상(1·2차 통합)
✅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처
정부는 “연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가맹점”을 중심으로 사용처를 설정했습니다. 다음은 확정된 사용 가능 업종·장소입니다.
1. 소상공인 일반 매장
업종사용 가능 여부비고
일반 음식점 | ✅ 가능 | 프랜차이즈 포함 (일부 브랜드 제한) |
미용실·이용원 | ✅ 가능 | 동네 매장 중심 |
세탁소 | ✅ 가능 | 연 매출 30억 이하 |
동네 슈퍼·마트 | ✅ 가능 | 이마트24, GS25 일부 가맹점도 포함 |
편의점 | ✅ 가능 | CU, 세븐일레븐, 미니스톱 가맹점 일부 가능 |
2. 전통시장·골목상권
업종사용 가능 여부비고
전통시장 | ✅ 가능 | 전국 전통시장 대부분 가능 |
의류점 | ✅ 가능 | 시장 내, 동네 상점 포함 |
신발·잡화점 | ✅ 가능 |
3. 의료 분야
업종사용 가능 여부비고
동네 병의원 | ✅ 가능 | 연매출 30억원 이하 개인·법인 의원 (예: 내과, 이비인후과, 소아과 등) |
약국 | ✅ 가능 | 대부분 가능, 온누리약국(2340개 지점)은 공식 사용처 등록 완료 |
한의원 | ✅ 가능 | 다수 한의원 연 매출 소상공인 기준 충족 |
대형병원 | ❌ 불가 | 상급종합병원 및 연매출 30억 이상 의원 제외 |
성형외과 | ⚠ 일부만 가능 | 프랜차이즈·강남권 의원 제외 가능성 높음 |
📌 확인된 자료에 따르면, 실질적으로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 90% 이상은 사용 가능으로 판단됨.
4. 교육·문화·생활 서비스
업종사용 가능 여부비고
독서실·스터디카페 | ✅ 가능 | 프랜차이즈 기준 제한적 허용 |
학원(보습·예체능) | ✅ 가능 | 마을 단위 소비 가능 |
안경점 | ✅ 가능 | 전국 대다수 가맹 안경점 허용 |
서점(소형) | ✅ 가능 | 동네 서점 중심 |
문구점 | ✅ 가능 | 사무용품 취급점도 대부분 포함 |
5. 외식·프랜차이즈 브랜드(일부)
브랜드사용 가능 여부비고
BBQ | ✅ 일부 가맹점 가능 | 본사 직영 제외 |
처갓집양념치킨 | ✅ 가능 | 소상공인 직영 |
김밥천국 | ✅ 가능 | 직영점 제외, 가맹점 대부분 가능 |
뚜레쥬르·파리바게뜨 | ⚠ 일부만 가능 | 본사 직영 제외 가맹점 중심 |
스타벅스 | ❌ 불가 | 대기업 직영 |
맥도날드·롯데리아 | ❌ 거의 불가 | 프랜차이즈 구조상 제외되는 사례 다수 발생 |
❌ 사용 불가 업종 및 장소
업종/장소불가 이유
대형마트(COSTCO, 이마트 등) | 대기업 또는 연매출 30억 초과 |
백화점 | 대기업 유통사 |
복합쇼핑몰 | 입점 브랜드 연매출 기준 초과 업장 다수 |
주류전문점·담배소매점 | 일부 제한 |
유흥업소(노래방, 클럽 등) | 기본 제외 업종으로 지정 |
면세점 | 법령 상 지급 목적 부적합 |
금융업(부동산, 보험, 증권 등) | 비소비 서비스업종 제외 대상 |
대형병원(상급종합병원) | 연매출 30억 원 초과로 자동 제외됨 |
📍 사용 가능 여부 확인 방법
방식방법 설명
가맹점 QR 포스터 | 매장에 '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' 포스터 부착 여부 확인 |
카드사 앱 | 본인 카드사(신한·국민·농협 등)의 소비쿠폰 전용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검색 |
지역사랑상품권 앱 | 지류/모바일 등록 가맹점 목록에서 사용처 검색 가능 |
지자체 홈페이지 | 각 시·도청 소비쿠폰 사용처 안내 페이지 제공 |
✅ 정부 공식 발표: 사용 비율 상위 업종
(2025년 7월 22일 기준, 총 1,428만 건 신청 중 카드사 익명데이터 분석)
업종 그룹전체 사용 비율 (%)상세 항목
식료품·생필품 구매 | 32.5% | 편의점, 동네마트, 전통시장 등 |
외식 | 21.3% | 프랜차이즈 음식점, 식당, 카페 등 |
의료 및 약국 | 13.7% | 의원, 한의원, 약국 등 |
생활서비스(이·미용/세탁 등) | 12.4% | 미용실, 안경, 세탁, 문구점 등 |
여가·문화 | 7.9% | 서점, 학원, 체험교실 등 |
기타 | 12.2% | 다양한 생계형 기타 업종 |
☑ 의료+약국 사용 비율이 전체의 13.7%, 실질적 사용 확대 확인됨
🔎 실제 사용 예시
- 서울 마포구 A씨: 김밥천국, 근처 동네 내과, CU편의점, 마포전통시장에서 소비쿠폰 활용
- 강원도 정선 B씨: 병원 진료비 + 마트 장보기 + 한의원 침치료 쿠폰 결제
- 대전 유성구 C씨: 아이 학원비 10만 원 소비쿠폰으로 일부 결제, 미용실 이용 등
결론 요약
항목내용 설명
사용처 핵심 조건 | 연 매출 30억 원 이하 소상공인 가맹점 |
사용 가능 업종 | 일반 음식점, 전통시장, 병의원, 약국, 미용실, 세탁소, 안경점, 서점 등 대부분의 생활밀착형 업종 |
사용 불가 업종 | 대형마트, 유흥업소, 금융업, 면세점, 종합병원 등 |
사용 확인 방법 | 카드사/지자체/상품권 앱, 현장 포스터, 전화 문의 |
사용 기한 | 2025년 11월 30일까지 |
누적 신청자 수 및 사용액 | 1,428만명 이상 / 2조 5,860억 원 지급 완료 (2025.7.22 기준) |
📣 참고 출처
- 행정안전부 2025 민생회복소비쿠폰 종합안내 (2025.7.21.)
-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 가맹점 기준
- 카드사(신한·국민·농협 등) 소비쿠폰 사용처 공지
- 코메디닷컴, 연합뉴스, 한국경제, 머니투데이(2025.7.21~7.23 보도 자료)
- 전국 지자체(서울시, 경기북부, 대전, 광주 등) 민생소비쿠폰 지역별 발행 현황
문의 또는 가맹점 조회:
소비쿠폰통합포털 www.소비쿠폰.kr
☎ 전국 콜센터 1533-2025 / 지자체 주민센터 또는 카드사별 상담실 이용 가능
⚠ 주의: 사용 가능 여부는 ‘연 매출 기준’과 ‘가맹점 등록 여부’ 모두 충족해야 하므로, 사용 전 반드시 가맹점 확인 필요!